Kotlin + Spring Cloud로 인증 중심 MSA 구축하기

API Gateway 기반 인증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도메인 서비스 구현하기

인증된 사용자 도메인 서비스 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인증은 일반적으로 API Gateway에서 처리되고, 각 도메인 서비스는 인증된 요청만을 받아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다.이 글에서는 Spring Cloud Gateway에서 JWT 인증을 처리하고, 도메인 서비스(user-service)는 인증된 사용자 정보만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구조를 다룬다. 1. 아키텍처 개요 2. Gateway 보안 설정 3. 사용자 ID 전달을 위한 Gateway 필터 … 더 읽기

1개월 전
Dify와 Continue로 만드는 사내 AI

Continue로 VSCode에 AI 코드 어시스턴트 붙이기

Continue Vscode 설치를 하기 위해 이번 글에서는 VSCode에 AI 코드 어시스턴트를 통합해주는 오픈소스 확장 프로그램, Continue를 소개한다. 설치 방법부터 기본 사용법, 주요 설정까지 정리하면서, 개인 개발 환경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 살펴본다. 1. Continue란 무엇인가? Continue는 VSCode에서 작동하는 AI 기반 코드 어시스턴트 확장이다. Copilot과 유사하게 코드 자동완성, 설명, 리팩토링 제안 등을 제공하며, 오픈소스 기반이므로 커스터마이징이 … 더 읽기

2개월 전
Dify와 Continue로 만드는 사내 AI

Dify에 사내 문서를 연동해 RAG 챗봇 만들기

RAG 챗봇 만들기 에 앞서 이전 포스트에서는 Dify에서 챗봇을 만들고 API 테스트까지 진행해봤다.이번에는 그 챗봇에 사내 문서를 본격적으로 연동하고,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전략을 활용해 실제로 지식기반 응답을 생성하는 방법을 다룬다. 1. 왜 RAG인가? RAG는 단순한 LLM 응답이 아닌, 외부 문서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해 LLM에게 제공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만든다. 특히 사내 정책, 기술 … 더 읽기

2개월 전
Dify와 Continue로 만드는 사내 AI

Dify 챗봇 만들기: App 생성부터 API 테스트까지

Dify 챗봇 만들기 를 통해 Dify 의 전반적인 사용법을 알아보자.이전 글에서 Dify를 온프레미스 환경에 성공적으로 설치했다면, 이제 실제로 챗봇을 만들어볼 차례다. 이 글에서는 Dify에서 챗봇 앱을 생성하고, 문서 업로드 및 API 테스트를 통해 RAG 기반 챗봇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확인해본다. 1. 워크스페이스와 App 생성 Dify에 로그인하면 기본 워크스페이스가 생성되어 있다. 여기서 새로운 App을 만들어야 한다. 생성 … 더 읽기

2개월 전
Dify와 Continue로 만드는 사내 AI

Dify 온프레미스 환경에 설치하기 (Docker + 설정)

Dify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설치하고 운영하려면 몇 가지 기술적인 요소를 미리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Dify는 강력한 RAG 기반 AI 챗봇 플랫폼이지만,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설치하고 운영하려면 몇 가지 기술적인 요소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Docker 기반으로 Dify를 설치하고, 사내 환경에 맞게 설정하는 전체 과정을 정리해본다. 1. 설치 전 요구사항 확인 항목 설명 운영체제 Ubuntu 20.04+ 또는 … 더 읽기

2개월 전
Dify와 Continue로 만드는 사내 AI

Dify와 Continue 를 설치하기 전 알아야 할 기본 사항

Dify와 Continue 는 AI 기반 개발 어시스턴트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도구지만, 바로 설치에 들어가기엔 고려할 점이 많다.특히 온프레미스 환경을 염두에 둔다면 미리 구조와 설정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설치 전에 준비해야 할 기술적, 개념적 요소들을 정리해본다. 1. Dify와 Continue는 무엇을 해주는 도구인가? 도구 주요 기능 목적 Dify RAG 기반 챗봇 생성, 모델 연동, … 더 읽기

2개월 전
Kotlin + Spring Cloud로 인증 중심 MSA 구축하기

Config Server 로 마이크로서비스 공통 설정 관리

Config Server 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에서 수많은 서비스들이 각기 다른 환경 설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핵심 도구이다.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수많은 서비스가 존재하고, 각 서비스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정을 가진다. 설정 파일을 각 서비스 내부에 두면, 운영 환경 변경이나 공통 설정 수정 시 모든 서비스를 수정하고 배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pring Cloud … 더 읽기

2개월 전
Kotlin + Spring Cloud로 인증 중심 MSA 구축하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Eureka로 마이크로서비스 등록/연결

서비스 디스커버리 는 MSA 구조에서 필수적인 기능으로, 수많은 마이크로서비스가 서로를 동적으로 탐색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MSA 구조에서는 수많은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해야 한다. 이때 고정된 IP나 포트를 사용하는 대신, 각 서비스가 자신을 등록하고 서로를 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Spring Cloud에서 제공하는 Eureka는 이런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도구다. … 더 읽기

2개월 전
Kotlin + Spring Cloud로 인증 중심 MSA 구축하기

API 라우팅 – Spring Cloud Gateway로 인증/비인증 API 라우팅

API 라우팅 Spring Cloud Gateway는 MSA 환경에서 API 요청을 받아 적절한 마이크로서비스로 라우팅하는 프론트 도어 역할을 한다. 특히 인증 기반 MSA에서 게이트웨이는 인증 여부에 따라 요청을 분기 처리하고, JWT 토큰을 검증하는 필터 역할까지 수행한다. 이 글에서는 Spring Cloud Gateway를 활용해 인증이 필요한 API와 공개 API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1. 게이트웨이 설정 개요 2. 의존성 … 더 읽기

2개월 전
Kotlin + Spring Cloud로 인증 중심 MSA 구축하기

인증 서비스 구축: OAuth2 + JWT 기반 토큰 발급

인증 서비스 구축 을 MSA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아보자.MSA 환경에서는 인증을 별도의 전담 서비스로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인증 서비스는 로그인 요청을 처리하고, 토큰을 발급하며, 사용자 신원을 검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글에서는 Kotlin과 Spring Boot를 활용해 OAuth2 기반 로그인 요청을 처리하고 JWT(Json Web Token)를 발급하는 인증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다룬다. 1. 기술 스택 선택 2. … 더 읽기

2개월 전